COPYRIGHT (c)2017. ALL RIGHTS RESERVED.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사용자와 서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해커가 중간에 통신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알 수 없게 하는 통신 방법입니다.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는 SSL 적용이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28조)
보안서버는 도메인 등록사이트가 아닌 호스팅사에 요청해야 합니다
요즘 SNS 기반을 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등 다양한 웹상에서 해쉬태그 (hashtag, #) 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아마 잘 알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만 제대로 알지못하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것 같아 공유 드립니다..
해쉬태그 (hashtag) 는 말그대로, 게시물에 일종의 꼬리표를 다는 거라고 보시면 될듯 한데요~ 특정 단어 또는 문구앞에 해쉬 (#) 를 붙여, 연관 정보를 한데 묶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해시(hash) 기호를 써서 게시물을 묶는다(tag)고 해서 해시태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데요, 해시 기호 뒤 문구는 띄어쓰면 안되요~ 띄어 쓸 경우 해시태그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기때문입니다.
해시태그는 처음에는 관련 정보를 묶는 정도의 기능으로 쓰였지만, 지금은 검색 등 다른 용도에도 더 많이 쓰인다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예컨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같은 SNS에 게시물을 올리고 해시태그를 달면,다른 사용자도 그 게시물과 같은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을 함께 찾아볼 수 있다고 하네요~ 네이버로 치면 관련검색어나 키워드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해쉬태그 (hashtag) 는 오픈소스 운동가 크리스 메시나가 처음 제안을 하게되었는데, 크리스 메시나는 SNS 트위터에서 많은 메세지가 오가지만 그 정보가 한데로 모이지않고 흩뿌려지는데 안타까워했고, 해쉬태그로 그 정보들을 묶자고 트위터에 제안을 하여 해쉬태그가 시작됬다고 하네요^^
출처: https://bbongdda24.tistory.com/entry/해쉬태그란-hashtag-다는법 [뽕따즈]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모바일 웹에 대한 관심이 많아 지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같은 웹 컨텐츠를 이용 하더라도 PC와 모바일 기기에서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 받기를 원합니다. 이에따라 화면 크기의 제약사항과 단말기의 기능 속성에 따른 고려사항이 생겼지만 그렇다고 여러 종류의 웹(url)을 만들 수 없습니다. 그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반응형 웹이 뜨고있습니다.
그렇다면 반응형 웹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웹페이지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재조정 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떠한 환경에서도 그에 맞게 사이즈가 변화되어 사용자가 보기 편리하게 만드는 웹이죠. 오직 하나의 HTML소스 만으로 특정 장치에 최적화된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유독 국내에서 두드러지는 모습이 PC버전 홈페이지를 만들고 모바일 홈페이지를 별도로 구축해서 관리하는 것입니다. 모바일 홈페이지는 단순히 화면을 작게 만들고 내용을 축소해서 만드는 형태가 대부분 입니다. 그래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하단에 위치한 PC버전 링크를 클릭해서 봐야하는데 이용이 불편하기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모바일 홈페이지 따로, PC홈페이지 따로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 소모가 커지게 됩니다. 그러나 모바일 홈페이지가 스마트폰 전용 사이즈(500px 이하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어서 대부분 태블릿 환경에는 맞지 않습니다. 이는 결국 태블릿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DNS(Domain Name System)서버를 ‘네임서버’라고도 부르는데, 네임서버에는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이 일대일로 짝지어져 저장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도메인 네임을 적어넣으면 네임서버 즉 DNS 를 통해 해당 도메인에 짝지어진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를 찾아갑니다.
이렇듯 네임서버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도메인 등록시에는 보통 1차 네임서버 외에, 1차 네임서버가 이상이 생겼을 경우 찾아갈 수 있는 2차 네임서버(보조 네임서버)를 지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whois.co.kr 이라는 도메인을 적어넣으면 브라우저는 지정된 네임서버를 찾아가 whois.co.kr 에 짝지어져있는 211.62.36.250 이라는 IP 주소를 통해 해당 사이트를 찾아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네임서버에 이상이 생기면 도메인을 통해 해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브라우저 주소창에 IP 주소를 직접 적어넣어 사이트를 찾아갈 수는 있습니다.
호스팅 서비스는 홈페이지가 저장될 공간을 임대하는 서비스 입니다.
제작 되어진 홈페이지 자료를 PC에만 저장해 두시면, 외부의 PC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작된 홈페이지로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여러 장비가 완비되어 있는 컴퓨터에 올라가져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컴퓨터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PC와 구별하여 서버컴퓨터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서버 컴퓨터 중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는 기능이 갖추어진 서버를 특히 웹서버라고 부릅니다.
웹서버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서버, 전용선, 네트워크 장비, 여러 프로그램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많은 시간과 인력, 기타 투자해야 하는 비용이 수백만원 이상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웹서버의 구축 및 운영은 개인이나 웬만한 기업에서는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따라서 자체 구축이 아닌, 웹서버 및 일정 공간을 필요한 만큼 임대 및 관리를 해 주는 호스팅 서비스를 받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비용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전문인력과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호스팅 서비스는 여러모로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고통을 떨쳐버리려 고생한다.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에 그들에게 익숙한 고통을 택한다.
- 탁닛한-
말만 하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잡초로 가득 찬 정원과 같다
- 아우얼-
남을 위해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어서 누구나 잘 하고 있지만, 이참에 나는 여러분에게 자기 자신을 위해 살도록 요청한다.
- 에머슨-
습관을 조심해라. 운명이 된다.
- 마가렛 대처-
거룩하고 즐겁고 활기차게 살아라. 믿음과 열심에는 피곤과 짜증이 없다.
- 어니스트 핸드-